그래핀 활용, OLED의 효율 개선 및 백색조명 개발 (2013.07)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 포항공대 이태우 교수 선정 - 그래핀 활용, OLED의 효율 개선 및 백색조명 개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그래핀 전극을 활용한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 분야에...
약물전달과 흡수를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 개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3월 수상자로 고려대 김종승 교수 선정 - 약물전달과 흡수를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 개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부작용은 낮추고 치료효과는 높일 수 있도록 암세포에만 ...
단백질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 개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1월 수상자로 연세대 신인재 교수 선정- 단백질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 개발 공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세포 내의 단백질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을 개발하여 난치성 질병 치료...
딱정벌레 날개의 잠금장치를 착안한 고감도 피부부착센서 개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 서울대 서갑양 교수 선정- 딱정벌레 날개의 잠금장치를 착안한 고감도 피부부착센서 개발 공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곤충의 몸체에 있는 미세한 섬모 구조에서 착안해 다양한 미세자극을 감...
완전 비선형 방정식에 대한 연구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9월 수상자 서울대 이기암 교수 선정 - 완전 비선형 방정식에 대한 연구 공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완전 비선형 방정식 해(解)의 정칙성(regularity)을 밝히고 이를 이용하여 해의 기하학...
나노복합재료의 친환경 제조기술 개발 (2013.06)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전북대 이중희 교수 선정 - 나노복합재료의 친환경 제조기술 개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고전도성 나노복합재료의 친환경 제조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전북대학교 이중희...
액체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원자 단위로 분석 가능한 실시간 관찰기술 개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로 KAIST 이정용 교수 선정- 액체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원자 단위로 분석 가능한 실시간 관찰기술 개발 공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세계 최초로 액체 시료를 그래핀1)에 밀봉하는 기...
찰스 다윈의 종의 확산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단일 신경세포 수준에서 규명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자서울대 이준호 교수 선정- 찰스 다윈의 종의 확산 과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단일 신경세포 수준에서 규명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찰스 다윈의 저서 ‘종(種)의 기원‘에서 언급한 종의 확산(d...
나노구조를 이용한 신개념 포토닉스 광원 및 광제어 기술개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월 수상자 조용훈 교수 - 나노구조를 이용한 신개념 포토닉스 광원 및 광제어 기술개발 -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나노구조를 이용하여 신개념의 반도체 포토닉스* 광원과 광제어 원천기술을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을 이용하여 환경 중 난분해성 독성물질 저감에 기여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 포스텍 장윤석 교수 -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을 이용하여 환경 중 난분해성 독성물질 저감에 기여 - □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환경복원을 위한 나노-바이오 융합기술*을 개발하여 환경 중 난분해성 독성물질**을 저감하는데...
친환경 신소재로 대기오염 물질 감지 및 제어('18.06)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수상 소감 부탁드립니다. 과학기술인상을 받아 영광입니다. 최근 미세먼지를 비롯한 공기 질에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대기오염 관련 연구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음에 큰 보람을 ...
마이크로 칩을 이용한 기능성 극세사 생산기술 개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고려대 이상훈 교수 선정- 마이크로 칩을 이용한 기능성 극세사 생산기술 개발 공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화학적 성분과 모양의 조절이 가능한 극세사(100㎛ 이내 가는 실)의 개발과 의...
MXene-고분자 복합체 원천소재기술 개발(18.09)
현대인의 삶과 가전제품은 불가분의 관계다. 텔레비전과 냉장고는 물론 휴대폰과 노트북,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각종 전자기기가 우리의 삶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전기가 흐르는 곳 어디서나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전자파 해결은 전자기기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 해결해야 할...
꿈의 신소재인 그래핀의 결정면 관찰 신기술 개발로 그래핀 상업화를 위한 핵심 난점 해결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 KAIST 정희태 교수 선정- 꿈의 신소재인 그래핀의 결정면 관찰 신기술 개발로 그래핀 상업화를 위한 핵심 난점 해결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그래핀 결정면을 간편하면서도 더 넓게(대면적...
질병 유발 단백질 제어하는 맞춤형 단백질 변형기술 개발 (18.05)
단백질은 인간을 비롯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 물질이다. 그 중요도가 높은 만큼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변형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전체 질병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박희성 교수는 암, 치매 등 난치병 발생의 원인인 변형 단백질 생산 기술을 개발해...